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4

전기차 배터리 수명을 늘리기 위해 관리 잘하는 법 "1 전기차 배터리 수명은 얼마나 할까? 저도 전기차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초창기에 구매하여 지금 10만 키로 조금 안되게 타고 있는데요. 리콜 때문에 정비소를 방문한 이후로 단 한번도 카센타나 정비소에 가본적이 없네요. 아 타이어 교체하러 타이어 나라는 한번 갔었네요.^^ 그만큼 잔 고장도 없고 엔진 오일 바꿀 이유도 없고, 거기에 기름을 대신하는 유지비도 저렴하여 만족하고 있는데요. 항상 마음 한구석엔 이 배터리 언제까지 쓸 수 있지? 라는 궁금증이 있어서 오늘은 전기차 배터리 수명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길게 잘 모르는 전문 용어와 수치를 나열하지 않고, 결론부터 말씀 드리고 설명하자면, 폐차할때 까지 타도 큰 문제가 없습니다. 다만, 운전 습관과 배터리 충전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 2023. 7. 9.
매년 6명 이상 문어,산낙지 먹다가 사망. 낙지 효능, 효과도 좋지만... 스테미너 음식중 하나인, 일명 '탕탕이'로 불리우는 산낙지 요리. 저도 참 좋아하는 별미인데요. 매년 6명 이상이 문어나 산낙지를 먹다가 죽는다고 하네요. 낙지의 효능과 효과가 엄청 나기에 안먹을 수는 없죠!^^ 외국인들은 제일 놀라운 동양인 식습관 중 하나로 뽑은 요리 중에 하나이기도 한데요.^^ 올드 보이의 최민식 배우도 산낙지를 뜯어 먹는 촬영에서 큰일날 뻔 했다고 소회를 밝힌적도 있답니다. 과거 2013년에는 산낙지를 이용한 살인 사건 의심 뉴스가 떠들석 했는데요. 결국 무죄로 판결이 나기는 했지만, '그것이 알고 싶다.'.'궁금한 이야기 Y' 등에 소개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판결이 낫음에도 의심을 거두지 못하는 사건 중에 하나가 되기도 했습니다. 일명 ‘산낙지 살인사건’에 대해 12일 무죄를 확.. 2023. 7. 8.
생각보다 이혼 이유는 간단하다. 아시아 이혼율 1위 대한민국 이혼하는 이유는 뭘까? 아시 이혼율 1위 불명예 대한민국 우리나라가 유교나 가부장적인 사회라 참고 사는 가정이 많아 이혼율이 적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놀랍게도 우리나라는 인구 천명당 이혼율로 볼 때 이미 일본을 앞지르고 있습니다. 통계 자료를 보면, 수치상 이혼 건수가 줄었지만, 결혼 건수가 줄어 들었기 때문에 이혼 건수가 줄은거지 이혼율은 오히려 높아졌습니다. 최근 3개년 이혼건수와 이혼율 기본 항목 2020 2021 2022 이혼건수(건) 106,500 101,673 93,232 조이혼율(천명당) 2.1 2.0 1.8 출처KOSIS 이혼 사유 첫번째 이유는 바로 "돈" 즉, 경제 이유가 가장 컸습니다. 사랑도 좋지만, 결국 돈 앞에는 많은 것이 무너지는 것 같습니다. 물론 경제적으로 좋아도 .. 2023. 7. 7.
우리나라 역대급 가장 강력했던 태풍은? 우리나라에 들이닥친 태풍중에 가장 강력했던 태풍 궁금하지 않으세요? ‘태풍’이라는 단어는 1904년부터 1954년까지의 기상관측 자료가 정리된 「기상연보(氣像年報) 50년」에 처음으로 등장하였는데 태풍의 ‘태(颱)'라는 글자가 중국에서 가장 처음 사용된 예는 1634년에 편집된 《복건통지(福建通志)》56권 에 있다. 중국에서는 옛날에 태풍과 같이 바람이 강하고 회전하는 풍계(風系)를 ‘구풍(具風)'이라고 했으며, 이 ‘구(具)'는 ‘사방의 바람을 빙빙 돌리면서 불어온다'는 뜻이다. 신기하게 영문 이름도 비슷한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Typhoon" 이라는 영어 단어 기원은, 그리스 신화에 티폰(Typhon)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대지의 여신인 가이아(Gaia)와 거인 족 타르타루스(Tartar.. 2023. 7. 6.
방사능 노출, 피폭, 섭취가 위험한 진짜 이유 요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로 연일 정치권이나 뉴스에 방사능의 심각성에 대해 치열하게 싸우고 있더군요. 아주 기초적일수도 있지만, 도대체 방사능에 노출이나 피폭, 섭취했을때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기에 이렇게들 난리일까 궁금하신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방사능이 위험한 이유 방사물질은 불안전한 물질이기에 스스로 분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가 알고 있는 핵무기에 쓰이는 우라늄, 플루토늄과 같이 원자량이 큰 원소들은 상태가 매우 불안정해 스스로 붕괴를 일으킵니다. 원소들이 붕괴할 때 수많은 입자, 전기기파를 방출하는데 이를 방사선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방사선이 방출하는 능력을 방사능이라고 하고 방사능을 가진 물질을 방사성 물질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방사능이 몸에 위험한 진짜 이유는 이 .. 2023. 7. 5.
A4 용지 75g . 80g . 90g 두꺼울 수록 좋은가요? 우리가 일상 생활에 자주 사용하는 물품이지만, 매번 구매할 때 마다 뭘 사지? 이런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됩니다. 용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복사지 용도로 쓰던 좋은 제본을 만들려고 하던 정확하게 제품의 특성을 알아야 나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을 겁니다. 오늘은 A4 용지의 G 수에 따른 차이를 말씀드려 볼께요. A4 용지는 두꺼울 수록 좋을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종이는 그 용도에 따라 사용하시는게 좋은데, 평량이 높을수록 가격이 비싼데 그냥 대충 사용하는 프린트 용도에 너무 고급진건 아마 아까우실 꺼에요. 그러나 때에 따라 두꺼운 용지가 필요하다면 두꺼운걸로 사용하시면 되시는데, 일반적인 인쇄물은 80g 용지를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가성비를 높이시는게 좋습니다 https://link... 2023. 7. 5.
퓰리처상 받은 사진 중에 내가 생각하는 BEST 5 사진을 좋아하다 보니, 퓰리처 상을 받거나 대상이 되었던 사진들도 관심 있게 많이 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퓰리처상]은 미국의 신문 저널리즘, 문학적 업적과 명예 음악적 구성에서 가장 높은 기여자로 꼽히는 사람에게 주는 상입니다. 1917년 미국의 언론인인 조지프 퓰리처의 유언에 따라 제정되었으며, 뉴욕 시에 위치한 컬럼비아 대학교 언론대학원 퓰리처상 선정위원회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사진 1 재판을 받고 있는 어머니에게 다가가 손을 잡고 있는 아이의 모습. 5.16 군사정변 후 많은 사람들이 군법회의에 회부되어 재판을 받았는데, 서너 살 된 어린 아이가 갑자기 방청석에서 피고인들이 서 있는 곳으로 아장아장 걸어가더니 고개를 떨구고 있는 엄마의 손을 잡았다. 그 어린 아이와 엄마의 모습을 본 판사는 .. 2023. 7. 4.
명동,지역 행사 바가지. 당신들 그러다 망해. 행사가 많은 봄. 매년 끊이지 않고 반복되는 뉴스가 있습니다. 올해도 얼마전 영양산나물축제에서 1박2일 팀에게 옛날과자 1봉지에 7만원 받았다가 바가지요금으로 질타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만, 여기 뿐이겠습니까? 예능 프로에 나와서 이슈가 되었을 뿐이지 벚꽃 축제, 불꽃 축제, 무슨 무슨 축제 마다 바가지 요금으로 몸살을 앓는다고 합니다. 작년 뉴스기사 조금만 검색해봐도 다음과 같은 뉴스가 잔뜩...ㅠㅠ 지방 뿐이랴... 명동은 대표적인 관광 외국인 대상 개미 지옥 같다. 검색은 안되겠지만, 세계 각국의 말로 경고를 해주고 싶다. 한국에 여행와서 명동 구경하실때, 바가지 요금 조심하세요. When you travel to Korea and look around Myeongdong, be careful of .. 2023. 7. 4.